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08월 미국 및 일본과 정상회담의 수혜 (조선, 방산, 원전, 반도체, 자동차)

by KIS HOME 2025. 8. 14.
반응형

트럼프 방위비·관세 협의, 미·일 정상 방문 시사 이슈 점검

조선발주 파이프라인 견조, 안보협력 동반 수혜 기대

 

수혜 : 동맹국 해군력 증강·연합훈련 확대 기대, 유조선/가스선/군함 수주 모멘텀.
리스크 : 관세·환율 변동에 따른 원자재/기자재 비용·인건비 상승, 친환경 규제 변경.

  • 현대미포조선(010620) — 중형 가스선·PC선 강점. 관심: 최근 고점 돌파 후 눌림 시 20D 재안착 + 거래량 확장
  • HJ중공업(097230) — 특수선/방산 선박 포트폴리오. 관심: 60D 추세선 이탈 여부, 거래회전율 둔화 체크
  • 케이조선(040300) — 중소형 조선 회복 베팅. 관심: 박스 상단(최근 고점) 거래 동반 돌파 여부

방산미·일 안보공조 강화 시 수출 레퍼런스 확대

수혜 : 탄약·유도무기·레이더/통신·무인체계 수요 증가 기대.
리스크 : 예산 집행 타이밍 지연, 일부 종목 단기 과열·조정(방산주 변동성 확대) 유의.

  • LIG넥스원(079550) — 유도무기/레이더 주력. 관심: 20D>60D 정배열 유지 + RSI 과열 해소 후 재상승
  • 한화시스템(272210) — 레이다·위성통신·UAM 스토리. 관심: 돌파 후 거래량 감소 시 되돌림 매수 구간 탐색
  • SNT모티브(064960) — 탄약/모빌리티. 관심: 저점 Higher-low 형성 여부 + 120D 하향 돌파 방어

원전에너지 안보·해외 프로젝트 동시 수혜권

수혜 : 미국·동맹국 원전/SMR 협력 확대 시 EPC·엔지니어링 수주 기회.
리스크 : 정책·규제 변수, 금리 민감(장기 프로젝트) 및 공급망 병목.

  • 두산에너빌리티(034020) — 주설비/SMR 파이프라인. 관심: 60D 이평선 지지 여부, 거래량 수축 후 재확장
  • 한전기술(052690) — 설계·엔지니어링. 관심: 갭 하락 구간 메우기(매물대) + MACD 시그널 전환
  • 에너토크(019990) — 원전 밸브(밸브구동). 관심: 추세선(상승채널 하단) 근접 시 분할 접근

반도체미·일 공급망 공조 + 관세 변수 병행 모니터

수혜 : 美·日 투자/장비 수요, HBM/후공정 고도화 수혜.
리스크 : 對中 관세 변동·수출통제 확대 시 고객 CAPEX 타이밍 지연.

  • 원익IPS(240810) — 전공정 장비. 관심: 실적 모멘텀 대비 밸류 리레이팅 구간, 20D 재안착 체크
  • 이오테크닉스(039030) — 레이저·패키징 테스트. 관심: 박스권 상단 돌파 후 지지 전환
  • 알에프세미(096610) — 아날로그/센서 소자. 관심: 거래량 급증 캔들 이후 눌림·거래 위축 구간

 

자동차관세·환율 변수 상존, 공급망 다변화는 기회

수혜 : 미·일 합작투자·물류 최적화, 고부가(친환경·SUV) 믹스 개선.
리스크 : 對美 관세·IRA 세부 규정 변화, 운임/해상물류 비용 변동.

관세/리튬 체크對중 관세·리튬價 변동이 국내주가에 미치는 함의

  • 對중 관세 논의 : 단기 관세·비관세 협상은 부품 조달·완성품 수출 마진에 직접 영향. 수혜 — 美·日 중심 공급망 대체 수요, 리스크 — 중국향 매출 비중 높은 업체 변동성 확대.
  • 리튬/2차전지 : 원재료 가격 반등 시 양극재·전구체 마진 압박, 채굴·정제/리사이클 업체는 스프레드 개선 시탄력적. 에코프로 관련 이슈는 변동성 관리(분할·현금비중).
  • 방산주 단기 조정 : 이벤트 선반영 후 차익실현 구간 가능 — 펀더멘털 변화 없으면 60D·120D 지지선 반등 확인 후 접근.
 

전략8월 말~9월 초 포지셔닝 가이드

  • 코어/위성 : 코어(대형·실적 가시성) 60~70%, 위성(중소형 모멘텀) 30~40%.
  • 분할 매수 : 이벤트 전후 2~3회 분할, 변동성 확대 시 현금비중 20~30% 유지.
  • 기술 체크 : 20D 재안착 + 거래량 재확장 조합을 1차 신호로, 60D 이탈 시 손절라인 엄수(종가 기준 -3~-5%).
  • 환헤지 : 수출 민감 섹터 비중↑ 시 USD 강세구간 활용(달러자산/환헤지 ETF 병행 검토).

※ 본 자료는 투자 참고용이며, 최종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자동차 사진
금일의 추가 증시 전망은 사진클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