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도권 6억 원 주담대 제한, 이재명 정부의 향후 방향 (부동산정책, 주식시장, 금융완화)

by KIS HOME 2025. 7. 1.

이재명 정부는 2025년 기준 자산시장 전반의 심리 회복과 실수요자 중심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6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제한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해당 규제의 완화 또는 기준 상향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수도권 주담대 제한의 배경과 현황,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 향후 부동산 및 주식시장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수도권 6억 주담대 제한, 왜 논란인가?

수도권 6억 원 주담대 제한은 과거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에서 도입된 규제의 연장선입니다. 실수요자 중심이라는 명분으로 도입됐지만, 현실적으로는 수도권 중위가격 상승으로 인해 다수 실수요층이 대출 접근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2025년 기준, 수도권 중위주택가격은 약 6억 7000만 원 수준으로, 실질적으로 6억 원 이하 주택은 공급량이 적고 수요는 높아 금융 규제가 실수요를 억제하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특히 30~40대 무주택 중산층의 대출 가능성이 막히면서 실거주 수요를 외면한 규제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금융·자산시장 기조

이재명 정부는 주식시장 활성화와 주거안정을 양대 축으로 삼아 자산시장 전반의 연착륙을 추진 중입니다.

  • 주식시장 부양: 증권거래세 인하, 공매도 감시 강화, 국민 ISA 확대.
  • 실수요 중심 부동산 지원: 생애최초 구입자 LTV 80% 확대, 청년·신혼부부 우대금리 적용
  • 수도권 중저가 주택에 대한 주담대 재조정 검토

2025년 5월, 국토부는 “실수요 억제를 막기 위한 기준 현실화 필요성”을 공식 언급했고, 민주당 정책위 역시 6억 기준의 상향 조정을 공개 검토한 바 있습니다.

향후 정책 변화 및 주식시장 영향

  • 6억원에서 7억원 상향 조정: 실수요자 대상 LTV·DSR 기준 유지하며 범위 확장
  • 생애최초·무주택자 우선 완화: 제한적 완화로 투기 수요 차단
  • 지역별 차등 적용: 투기과열지구 제외 지역부터 선제적 해제

이러한 주담대 완화 조치는 소비 심리 회복 → 건설·금융·소비재 관련 종목 주가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제한 해제는 시간문제

수도권 6억 주담대 제한은 정책 목적과 시장 현실 간 괴리를 키우고 있으며, 이재명 정부의 실수요자 중심 기조와 맞지 않는 측면이 강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기준 상향 또는 선택적 완화가 시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하지만 경제부양이 필요한 상황에 주담대 제한을 하면 지표가 되는 수도권 집값은 잡을 수 있지만 지방 부동산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발생합니다. 아직도 지방지역의 부동산은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경제성장 이미지